맨위로가기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은 1974년 NWA의 짐 크로켓 프로모션스에서 NWA 미드애틀랜틱 TV 왕좌로 시작하여, NWA 텔레비전 챔피언십, NWA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을 거쳐 1991년 WCW가 NWA를 탈퇴하면서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으로 변경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이다. 이 타이틀은 2000년 4월 10일 WCW 리부트 이후 폐지되었으며, 104명의 챔피언이 존재했다. 부커 T가 6회로 최다 챔피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마지막 챔피언은 짐 더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WCW 챔피언십 - W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WCW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은 1988년부터 2001년까지 WCW에 존재했던 태그팀 챔피언십으로, N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에서 시작하여 WWE에 인수된 후 WWF 태그팀 챔피언십과 통합되어 더들리 보이즈를 마지막 챔피언으로 사라졌다.
  • WCW 챔피언십 -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WC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1991년 WCW에서 시작된 프로레슬링 챔피언십으로, 릭 플레어가 초대 챔피언이며 2001년 소멸되었고, 헐크 호건이 최장수 챔피언, 릭 플레어가 최다 챔피언 기록을 가지고 있다.
  • 프로레슬링에 관한 - 로디 파이퍼
    로디 파이퍼는 로데릭 조지 툼스라는 본명을 가진 캐나다 출신의 프로레슬러이자 배우로,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NWA와 WWF에서 활동하며 "파이퍼스 핏" 인터뷰 코너 진행 및 헐크 호건 등과의 대립으로 인기를 얻었고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은퇴 후에는 영화 《그들이 사는 세상》에 출연하는 등 배우로도 활동했다.
  • 프로레슬링에 관한 - 더스티 로즈
    더스티 로즈는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링네임으로 유명한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트레이너, 부커로,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을 3회 지냈으며 은퇴 후 WWE에서 프로듀서와 각본가로 활동하며 2007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기본 정보
마지막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벨트
마지막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벨트
프로모션월드 챔피언십 레슬링
생성일1974년 2월 27일
폐지일2000년 4월 10일
과거 명칭NWA 미드-애틀랜틱 텔레비전 챔피언십
NWA 텔레비전 챔피언십
NWA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챔피언 기록
초대 챔피언대니 밀러
마지막 챔피언짐 더간
최다 챔피언부커 T (6회)
최장 보유 기간털리 블랜처드 (353일)
최단 보유 기간렉스 루거, 크리스 벤와, 부커 T (1일)
최고령 챔피언짐 더간 (46세 37일)
최연소 챔피언알렉스 라이트 (22세 96일)
최고 체중 챔피언스티비 레이 (131kg)
최저 체중 챔피언울티모 드래곤 (82kg)

2. 역사

1974년 NWA 짐 크로켓 프로모션스(MACW)에서 TV 프로그램용 타이틀로 '''NWA 미드-애틀랜틱 텔레비전 챔피언십'''을 창설했다.[4] 초대 챔피언은 토너먼트 결승에서 올레이 앤더슨을 꺾은 대니 밀러였다.[4]

이후 이반 콜로프, 폴 존스, 안젤로 모스카, 미스터 레슬링, 릭 플레어, 그레그 발렌타인, 루퍼스 존스, 리키 스팀보트, 바론 폰 라시크, 조니 위버, 마스크드 슈퍼스타, 로디 파이퍼, 로키 존슨, 지미 발리언트, 론 바스, 조 루닥, 레로이 브라운, 마이크 로툰도, 딕 슬레이터, 더 그레이트 가부키 등 여러 선수들이 챔피언을 거쳐갔다.[4]

1985년 3월, NWA 미드애틀랜틱 TV 왕좌는 '''NWA 텔레비전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4]

1980년대 중반, MACW 소유주 짐 크로켓 주니어는 빈스 맥마흔의 WWF 전국 진출에 맞서 NWA 회장으로 재취임했다. 그는 NWA 월드 헤비급 챔피언 릭 플레어를 독점하고, 조지아 지역, 센트럴 스테이츠 지역, 플로리다 지역을 흡수 합병하며 NWA 내 세력을 확장했다.[5] 이 과정에서 미드애틀랜틱 TV 챔피언십은 '''NWA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탈리 블랜차드에게서 타이틀을 빼앗은 더스티 로즈가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5]

NWA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이 된 이후에는, 주로 MACW의 TV 프로그램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에서 타이틀전이 열렸고, 언 안데르손, 릭 스테이너, 니키타 콜로프 등이 챔피언에 올랐다.[6]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MACW의 경영이 악화되었고, 결국 짐 크로켓 주니어는 테드 터너에게 단체를 매각했다.[6]

1991년,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이 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NWA)를 탈퇴하면서, 기존의 NWA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은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5] 이전까지 NWA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을 보유했던 스팅, 그레이트 무타 등 한국계, 일본계 선수들도 새로운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에 도전했다.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은 주로 중견급 선수들이 경쟁하는 타이틀로 여겨졌다.[5] 1999년 스캇 홀이 챔피언 벨트를 쓰레기통에 버리면서 타이틀이 일시적으로 봉인되었다.[5] 2000년 짐 더건이 쓰레기통에서 벨트를 찾아 챔피언으로 복귀했지만, 같은 해 4월 10일 WCW의 리부트 이후 모든 챔피언십이 공석 처리되면서 폐지되었다.[5]

2. 1. NWA 미드-애틀랜틱 텔레비전 챔피언십 (1974-1977)

1974년, NWA 짐 크로켓 프로모션스(MACW)에서 TV 프로그램용 타이틀로 창설되었다.[4] 초대 챔피언은 토너먼트 결승에서 올레이 앤더슨을 꺾은 대니 밀러였다.[4] 이후 이반 콜로프, 폴 존스, 릭 플레어, 안젤로 모스카, 미스터 레슬링, 그레그 발렌타인, 루퍼스 존스, 리키 스팀보트, 바론 폰 라시크, 조니 위버, 마스크드 슈퍼스타, 로디 파이퍼, 로키 존슨, 론 바스, 지미 발리언트, 조 루닥, 레로이 브라운 등이 챔피언을 차지했다.[4]

2. 2. NWA 텔레비전 챔피언십 (1977-1985)

1974년, NWA의 짐 크로켓 프로모션스 (미드애틀랜틱 챔피언십 레슬링 / 약칭: MACW)에서 '''NWA 미드애틀랜틱 TV 왕좌'''가 창설되었다.[4] MACW의 TV 프로그램용 타이틀로, 토너먼트 결승에서 올레이 앤더슨을 꺾은 대니 밀러가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4]

이후 이반 콜로프, 폴 존스, 안젤로 모스카, 미스터 레슬링, 릭 플레어, 그레그 발렌타인, 루퍼스 존스, 리키 스팀보트, 바론 폰 라시크, 조니 위버, 마스크드 슈퍼스타, 로디 파이퍼, 로키 존슨, 지미 발리언트, 론 바스, 조 루닥, 레로이 브라운, 마이크 로툰도, 딕 슬레이터, 더 그레이트 가부키 등 여러 선수들이 챔피언을 거쳐갔다.[4]

1985년 3월, NWA 미드애틀랜틱 TV 왕좌는 '''NWA 텔레비전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 3. NWA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1985-1991)

1980년대 중반, MACW 소유주 짐 크로켓 주니어는 빈스 맥마흔의 WWF 전국 진출에 맞서 NWA 회장으로 재취임했다. 그는 NWA 월드 헤비급 챔피언 릭 플레어를 독점하고, 조지아 지역, 센트럴 스테이츠 지역, 플로리다 지역을 흡수 합병하며 NWA 내 세력을 확장했다.[5] 이 과정에서 미드애틀랜틱 TV 챔피언십은 1985년 3월 '''NWA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탈리 블랜차드에게서 타이틀을 빼앗은 더스티 로즈가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5]

NWA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이 된 이후에는, 주로 MACW의 TV 프로그램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에서 타이틀전이 열렸고, 언 안데르손, 릭 스테이너, 니키타 콜로프 등이 챔피언에 올랐다.[6]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MACW의 경영이 악화되었고, 결국 짐 크로켓 주니어는 테드 터너에게 단체를 매각했다.[6]

2. 4.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1991-2000)

1991년,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이 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NWA)를 탈퇴하면서, 기존의 NWA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은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으로 변경되었다.[5] 이전까지 NWA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을 보유했던 스팅, 그레이트 무타 등 한국계, 일본계 선수들도 새로운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에 도전했다.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은 주로 중견급 선수들이 경쟁하는 타이틀로 여겨졌다.[5] 챔피언을 역임한 선수로는 스티브 오스틴, 바비 이튼, 배리 윈덤, 리키 스팀보트, 스콧 스타이너, 폴 오른도프, 로드 스티븐 리갈, 래리 즈비스코, 조니 B. 배드, 다이아몬드 댈러스 페이지, 렉스 루거, 울티모 드래곤, 알렉스 라이트, 디스코 인페르노, 페리 새턴, 부커 T, 릭 마텔, 크리스 베노아, 핏 핀레이, 크리스 제리코, 코난, 릭 스타이너 등이 있다.[5]

1999년 스캇 홀이 챔피언 벨트를 쓰레기통에 버리면서 타이틀이 일시적으로 봉인되었다.[5] 2000년 짐 더건이 쓰레기통에서 벨트를 찾아 챔피언으로 복귀했지만, 같은 해 4월 10일 WCW의 리부트 이후 모든 챔피언십이 공석 처리되면서 폐지되었다.[5]

3. 기록

항목내용
초대 챔피언대니 밀러[3]
마지막 챔피언짐 더건
최장수 챔피언폴 존스 (368일)
최단 기간 챔피언렉스 루거, 크리스 베노아, 부커 T (1일)[3]
최다 챔피언부커 T (6회)[3]
최중량급 챔피언스티비 레이 (131kg)
최경량급 챔피언울티모 드래곤 (82kg)
최고령 챔피언짐 더건 (46세)
최연소 챔피언알렉스 라이트 (22세)



총 104명의 챔피언이 있었으며, 부커 T가 6회로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3] 언 아더슨은 4번의 타이틀 보유 기간 동안 총 870일로 최장 기간 챔피언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최장수 챔피언은 소스에 따라 기록이 다르다.( 폴 존스: 368일, 툴리 블랜챠드: 353일)

4. 역대 타이틀 명칭

연도이름
1974년~1977년NWA 미드-애틀랜틱 텔레비전 챔피언십
1977년~1985년NWA 텔레비전 챔피언십
1985년~1991년NWA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1991년~2000년월드 챔피언십 레슬링(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십


5. 역대 챔피언 목록

선수획득 횟수
대니 밀러1
아이번 콜로프1
폴 존스1
릭 플레어1
안젤로 모스카1
미스터 레슬링1
그레이그 발렌타인1
루퍼스 R. 존스1
리키 스팀보트1
버른 본 래스크1
자니 위버1
마스키드 슈퍼스타1
로디 파이퍼1
스위트 에보니 다이아몬드(락키 존슨)1
론 배스1
지미 발렌타인1
조스 레덕1
배드 레로이 브라운1
마이크 로턴도1
딕 슬레이터1
그레이트 카부키1
마크 영블러드1
툴리 블랜챠드1
더스티 로즈1
안 앤더슨1
니키타 콜로프1
릭 스타이너1
스팅1
그레이트 무타1
제트맨1
바비 이턴1
스티브 오스틴1
배리 윈드햄1
스캇 스타이너1
폴 온도프1
로드 스티븐 리갈(윌리엄 리갈)1
래리 지비스코1
자니 B. 배드(마크 메로)1
레네게이드1
다이아몬드 달라스 페이지1
렉스 루거1
프린스 로키1
울티모 드래곤1
알렉스 와이트1
디스코 인페르노1
페리 새턴1
부커 T1
릭 마텔1
크리스 벤와1
핏 핀레이(데이비드 핀레이)1
스티비 레이1
크리스 제리코1
코난1
스캇 홀1
짐 더간1


참조

[1] 웹사이트 NWA/WCW World Television Title http://www.wrestling[...] Wrestling-titles.com 2007-07-02
[2] 웹사이트 Deal leaves wrestlers out in cold http://slam.canoe.co[...] Canadian Online Explorer 2001-03-25
[3] 웹사이트 NWA World Television Championship https://www.cagematc[...] CageMatch.net 2023-05-07
[4] 웹사이트 NWA Mid-Atlantic Television Title http://www.wrestling[...] Wrestling-Titles.com 2015-02-23
[5] 웹사이트 NWA/WCW World Television Title http://www.wrestling[...] Wrestling-Titles.com 2015-02-23
[6] 웹사이트 Promoter Profiles: Jim Crockett Jr. http://www.onlinewor[...] Online World of Wrestling 2015-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